
멋쟁이 신사는 자전거 탄다? 안면도에서 최초로 개장된
해변인 방포해수욕장의 1960년대 사진자료로서 선글라스끼고
한껏 폼낸 중년신사의 모습이인상적이다,

동대문스케이트장에서 육영수여사와 박근혜

최초의 세단 승용차<새나라>(1962년).
1962년 – 우리 손으로 생산한 최초의 세단 승용차`새나라`가
1962년, 경기도 부평 새나라자동차 공장(현 GM대우자동차 공장)에서
첫선을 보였습니다.
꽃다발과 오색풍선으로 한껏 멋을 낸 채 말입니다.
빗속이었음에도, 내의 차림으로 우산을 받쳐든 까까머리
아이들과 어른들은 목을 길게 뺀 채 `새나라 생산 제1호`라고 쓴팻말을 단 멋진
세단 주변에 모여들었습니다. 4도어 뒷바퀴굴림형(후륜구동형)으로,
4기통 1200㏄(55마력) 엔진을 장착한 차였지요.
1955년부터 생산된 지프형 `시발자동차`는 새나라에
곧 자동차의 왕좌 자리를 물려줍니다.

서울시청 옆에서 스케이팅을 하는
시민들40여년전 서울시내의 정감이 어린 모습이 담긴 사진 한장이 발견됐다.
사진에는 시청 옆 덕수궁 내 얼어붙은 연못에서
스케이트를 타고 있는 수십명의학생과 어린이,
시민들의 모습이 담겨 있다.
서울시 시사편찬위원회의 나각순 연구원은
"당시에는 겨울이면 덕수궁이나 창경궁의 얼어붙은
연못에서 시민들이 스케이트를 즐겼었다"며
"태평로가 확장되기 전이라 덕수궁 내 연못도 지금보다
훨씬 컸었다"고 말했다. 이 사진은 이 지사가 광화문전화국에 9급 공무원으로
재직하면서 행정고시를 치르기 위해 주경야독하던
시절 행정법 책을 쌌던 달력 사진으로
최근 보관중인 책들을 정리하던 중 발견됐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서울시에서 조성한 서울광장
스케이트장을 떠오르게 한다"며 "레저시설이 별로 없던 시절 시내 스케이트장은 큰
인기를 끌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지난해도 가로 40m 세로 30m 규모로
300∼400여명이 한꺼번에 이용할수 있는 서울광장 스케이트장을 조성했었다.
(서울-연합뉴스)


김정일의 김일성종합대학 학생시절 사진첫째 사진 설명조선중앙텔레비젼은
방송한 기록영화에서 김일성종합대학 재학시절 군사훈련을 하고 있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모습을 내보냈다. 조선중앙TV촬영
(서울=연합뉴스)
두번째 사진 설명조선중앙텔레비젼은
기록영화를 통해 김일성종합대학 재학시절 공사현장에서 작업중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모습을 내보냈다. 방송은 어떤 공사였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조선중앙TV촬영 (서울=연합뉴스)



한국 최초의 누드-루크[ 선데이서울 68년 11/17
[제1권 제9호 ]

영화 <이상의 날개> 포스터1968년
최인현감독, 신성일,남정임,문희,최불암,
박기택등 출연한 영화의 포스터.

국민학생 보리베기 동원. 그 때는 빠짐 없이 논이며 밭에 보리를 심었다.
당시 농촌인구가 지금처럼 적은편은 아니였으나 기계화가 되지 않아
보리 베고탈곡을 마쳐야 모내기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농번기 휴가가 있었고
휴가 전 초등학교 3학년부터 도시락 싸 가지고 며칠을 동원되어
보리베기에 나서야 했다.
당시 서로 베어 달라고 했었고 서툰솜씨로 베어야만
했던 당시 너무 힘들었다. 베고 삯을받아 학교 도서를 사는 등 사용되었다

60년대 힘있는 기관의 야유회
상당히 힘있는 기관의 직원들이 야유회를나왔다.
마이크까지가지고 나온걸보니 노래를 부르고 있는
여자직원의 머리모습이 너무 재미있다.
투피스를입은거며 한껏 멋을 낸 모습인 것 같다.
60년대 모습다


윤정희 취입 음반 <금수강산>. 1968년<금수강산>에 출연하면서,
<윤정희>는 영화의 주제가를 직접 부른 음반을 출시하였다.
원래 가수 <김세레나>가 불렀던 곡을 재취입하였으며,
A면은 <김세레나>가 B면은<윤정희>가 불렀다.
상단의 레코드 자켓을 보면 <윤정희>의모습이 보이며,
영화 <금수강산>의 한 장면이기도 하다.<강찬우> 감독의 작품으로,
<남궁원>, <문정숙>등의 배우들이 공연하였다.
1968년 서울-국도극장, 부산-대영극장 등에서개봉하였다. 참 귀한 자료다.

이동하는 야외 가설극장

60년대 파티장에서의 남자배우들 1960년대 초반으로 추측되는 사진이다.
당대의 인기 남자배우들이 파티장소에서 술잔을 주고 받으며, 즐거워하는 모습이다.
<황해>,<윤일봉>, <주선태>, <최무룡>,<김진규>, <김승호>등 한 시대를
풍미한 남자배우들의 모습인데,
40여년이 지난 지금<주선태>, <최무룡>, <김진규>, <김승호><황해>등의
배우들은 이미 고인이 되었으며, 앞으로 40년후,
<권상우>,<장동건>, <이병헌>등 현재의 톱배우들이 원로가 되었을때?
청춘극장 회원들중에서 생존해 계시는분이 몇이나 될까? 가끔 이런 사진들을 보면
“인생의 덧없음”을 더욱 실감한다.
조선말기 사진(수원과 인천 우편일부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