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사례
Noblesse Oblige 란 고귀한 지위에 있는 인사들이 상응하는 사회적, 도덕적 책무를 진다는 뜻
우리에게도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역사는 분명히 있다. 우리 민족의 수난의 역사 곳곳에는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는 데 일신의 안위를 생각지 않고 온몸을 던져 나라를 구한 노블레스들이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 경주 최부자 집안
우리나라의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논하는 데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가문이 경주 최부자 집안이다. ''부자가 3대 가기 힘들다''는 옛말이 무색하게도, 경주 최부자 집안은 무려 300년 12대 동안 만석의 재산을 유지했는데, 이렇게 장기간 한 집안이 부를 유지한 사례는 전 세계에서도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라고 한다. 그러나 최부자 집안이 칭송을 받는 것은 부를 많이 축적했고 그것을 오랫동안 유지했기 때문이 아니라 많은 선행과 독립운동의 후원자 역할을 통하여 지도층으로서 모범을 보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씨 가문은(''부자가 천당에 가기는 낙타가 바늘구멍 통과하기 보다 어렵다’는 말이 ‘성경’ 말씀에도 있는 것 처럼 고금을 막론하고 부자가 존경받기는 어렵지만,) 부자로서는 드물게 존경과 칭송을 받았다.
양반으로서의 신분은 유지하되 권력과는 일정 거리를 유지하라는 의미이다. 과거를 보라는 것은 학문을 가까이하여 지적능력을 기르라는 가르침이다.진사는 일명 생진(生進)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조선시대에 생원과 진사를 뽑았던 소과(小科)의 종장(終場)에 급제한 것을 일컫는다. 때문에 생원이란 권력을 가진 사람이라기보다는 신분상 선비로서 사회적 공인을 받는다는 의미가 컸다.일테면 생진과보다 더 높은 과거에 급제하여 권세의 자리에 있게 되면, 그것은 마치 작두 날 위에 서 있는 것과 같으므로, 철저한 계급사회에서 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지위는 필요하나 권력까지 가질 생각은 하지 말라는 뜻이 되겠다.
대단히 역설적인 가르침이다. 그러나 이 집안을 존경받게 한 것은 바로 이러한 가르침 때문이다. 최부자집의 후손들은 이 상한선을 지키기 위해 부에 대한 욕망을 절제해야 했다. 그들은 이 가르침을 지키기 위해 다른 부자집들이 70% 정도 받던 소작료를, 40%로 낮추어부의 혜택이 자연스럽게 남들에게로 퍼져나가게끔 하였다. 경주 일대의 소작인들이 앞다퉈 최부자 집 농사를 지으려고 줄을 섰으며, 수많은 소작인들은 더욱 열심히 일하였고 최부자집의 재산은 계속 늘어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사촌이 논을 사면 배가 아프다고 하는데, 최 부자가 논을 사면 박수를 치지 않았을까...? 말하자면 윈-윈 전략의 선구자적인 실천이었던 것이다.
최씨 집안의 셋째 원칙은 지나가는 손님을 후하게 대접함으로써 덕을 쌓고 인심을 얻으라는 가르침이다. 과객(過客)들에게 숙식을 제공하여 나눔을 실천하는 것은 선행을 베푸는 것이기도 하지만 신문이나 텔레비전이 없던 시절에 이곳 저곳을 돌아다니며 정보 전달자 역을 하던 과객들을 통해 최씨 집안은 정보를 수집하고, 다른 지역의 민심을 파악할 수 있었을 것이다.
후한 대접을 받았던 이들은 조선팔도에 최 부자집의 인심을 소문내고 다녔는데, ‘적선지가(積善之家)’란 평판은 사회적 혼란기에도 이 집을 무사할 수 있게 만든 비결이기도 했다. 동학 이후에 경상도 일대에는 말을 타고 다니면서 부자집을 터는 활빈당이 유행해서, 다른 부자집들은 대부분 털렸지만 최 부자집 만큼은 건드리지 않았다. 이 집의 평판을 활빈당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가난한 사람들이 당장 굶어죽지 않기 위하여 헐값으로 내놓은 전답을 매입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심지어 다급하니까 흰죽 한 그릇 얻어먹고 그 대가로 팔게된 논을 말하는 ''흰죽 논''까지 등장했다고 한다. 그러나 최 부자 집은 이런 짓을 하지 않았다. 이는 가진 사람이 할 도리가 아니라고 보았다. 이렇게 얻은 인심은 다른 기회에 재산을 늘리는 데 크게 도움이 되었다.
이런 금기는 또 있었다. ‘파장 때 물건을 사지 않는다’가 그것이다.
석양 무렵이 되면 장날 물건들은 값이 뚝 떨어지기 마련이다. 다른 부자집들은 오전에는 절대 물건을 사지 않고 파장 무렵까지 인내하면서 ‘떨이’ 물건을 기다렸으나, 최씨 집안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 항상 오전에 제값을 주고 물건을 구입하였다. 그러다 보니 상인들은 제일 질이 좋은 물건을 최 부자 집에 먼저 가지고 왔다고 한다. 이러한 최부자집의 재물에 대한 철학은 부를 축적하는 데 있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남이 어려울 때를 축재의 기회로 삼는 요즘 기업인들에게도 크게 교훈이 되는 가르침이다.
혼자만 잘 먹고 잘 살지 말고 이웃과 나누라는 가르침이다. 그것도 사방 백리안의 이웃과 나누라는 것은 그 스케일 면에 있어서도 로마제국 귀족들의 선행에 조금도 뒤지지 않는 규모이다. 경주를 중심으로 사방 100리를 살펴보면 동으로는 경주 동해안 일대에서 서로는 영천까지이고, 남쪽으로는 울산이고 북으로는 포항까지 아우른다.최부자집은 춘궁기나 보릿고개가 되면 한 달에 약 100석 정도의 쌀을 이웃에 나누어 주었고, 흉년이 심할 때에는 약 800석이 들어가는 큰 창고가 바닥이 날 정도로 구휼을 베풀었다고 한다. 최 부자집에서 1년에 소비하는 쌀의 양은 대략 3000석 정도였다고 한다. 그 가운데 1000석은 식구들 양식으로 썼다. 그 다음 1000석은 과객들의 식사대접에 사용했다. 그리고 나머지 1000석은 빈민구제에 썼다는 것이다. 최씨 집안의 이러한 전통은 1대 부자인 최국선의 선행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한다. 최국선은 신해년(1671)에 큰 흉년이 들었을 때 "주변 사람들이 굶어죽을 형편인데 나 혼자 재물을 지켜서 무엇 하겠느냐"며 곳간을 헐어 이웃을 보살폈다고 한다. 그 이후 ''사방 100리 안에 굶어 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는 가르침이 가훈의 하나가 되었다는 것이다.
최준과 그의 둘째동생인 최완은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아 지난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최완은 상해임시정부에서 일하다 일본 경찰에 체포돼 모진 고문 끝에 1921년 35세로 순국했다. “재물은 분뇨(똥거름)와 같아서 한 곳에 모아 두면 악취가 나 견딜 수 없고 골고루 사방에 흩뿌리면 거름이 되는 법이다.” ,,,,,,,,,,,,,,,,,,,,,,,,............................
유일한 만큼 인생의 편차가 큰 인물도 없을 것이다. 한 세기 전에 불과 10세의 나이로 미국으로 건너가 고학생에서 경영자로 성장하였고, 고국에 돌아와 민족기업을 일으키고는 항일투쟁을 위한 특수요원으로 변신하였다. 그리고는 다시 기업을 키워 사회에 환원하고 세상을 떠났다. 1895년 1월 5일 평안남도 평양에서 유기연과 김기복 사이에 6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난 유일한 박사는 부친의 영향으로 10살에 미국으로 유학을 떠난다. 그는 고등학교 시절까지 ''유일형''이었던 이름을 조국을 잊지 않고 살겠다는 그의 의지대로 ''유일한''으로 바꾸는 것을 시작으로 대학 졸업반이던 1919년 우리 나라의 독립을 주장하는 ''한인 자유대회''가 필라델피아에서 열리자 ''한국국민의 목적과 열망 결의문''을 작성하고 발표, 그 결의문대로 실천하며 평생 조국을 사랑하며 살았다. 1920년에 대학을 졸업한 유일한 박사는 세계적인 전기회사인 제너럴 일렉트릭(G.E)에 동양인 최초의 회계사로 취직, 동양 현지 총 책임자를 맡아달라는 제의를 받는다. 그러나 월급을 받으며 일생을 편안하게 살기 보다는, 민족에 봉사하는 기업을 경영하는 것을 택했다. 그래서 1924년 승승 장구하며 성공을 거듭하던, 숙주나물 통조림을 생산하는 회사와 재산을 정리하고 귀국한다.
그러나 이 작전은 일제의 항복으로 말미암아 안타깝게도 실행되지 못하였다. (유일한은 후에 미 국무성의 비밀문서 등을 통해 그 실체가 밝혀지기까지 평생 동안 한마디도 이 작전에 대해서 언급한 적이 없었다고 한다. 그가 어떤 유형의 사람인지를 엿보게 하는 대목이다.) 1969년 유일한은 기업경영의 일선에서 은퇴하게 되는데, 그는 이때 자신과 아무런 혈연관계가 없는 조권순(趙權順) 전무에게 사장직을 승계하여 전문경영인 체제를 도입한다. 그에게 미국 변호사로 활동하던 유능한 아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가족에게 경영권을 세습하지 않고 소유와 경영을 분리한 것이다. 물론 소유도 자신이나 가족의 이름으로 한 것이 아니라 자선재단과 종업원, 그리고 국민의 이름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행동은 "기업의 소유주는 사회다. 단지 그 관리를 개인이 할 뿐이다"라는 그의 기업관을 스스로 실천한 것이다. 그는 세금에 대해서도 철저했다. 세금을 탈루하는 것이 상식으로 통할 때에도 유일한은 그러지 않았다. ''기업이 세금을 많이 납부해야 정부가 국민을 위해 예산을 사용할 수 있다''는 상식을 가진 그는 조금의 누락도 없이 세금을 납부했다. 정치자금을 내지 않았다는 것이 빌미가 되어 혹독한 세무조사를 수없이 받아야 했지만 한치의 어김도 없이 납세의 의무를 지킨 그는, 1968년 3개월에 걸친 세무조사 끝에 어떤 혐의도 발견되지 않자, 오히려 모범 납세자로 선정되어 정부로부터 국내 최초로 동탑산업훈장을 수상하기도 했다.
"행복의 비결은 포기해야 할 것을 포기하는 것이다." "쓸 줄 모르는 사람에게는 아무리 재산이 많아도 소용이 없다." "엄청난 부에는 그만한 책임이 따른다." "사회 자원이 일종의 특혜가 돼 대물림돼서는 않된다." "기업의 소유주는 사회다. 단지 그 관리를 개인이 할 뿐이다." "진정으로 자신을 버릴 때 자신을 얻을 수 있다." "사회에서 번 돈과 재능은 사회에 다시 돌려주는 것이다 |
<from : crc>
>
'자료실,휴게실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가을이 떠나기 전에 (0) | 2011.10.04 |
---|---|
쉬어가는 길목 # 남자들의 시선(視線) ??^^ (0) | 2011.10.04 |
생명의작은 영웅 미토콘드리아를 알아보십시요. 건강의원천.....? (0) | 2011.09.20 |
환상의 Slide Show (0) | 2011.09.10 |
누드 퍼포먼스^^ (0) | 2011.09.07 |